분류 전체보기 1164

[캘리포니아] 헐리우드 거리

로스엔젤레스로 여행을 갔지만, 시내로 간 건 딱 하루였다. 한 이틀 정도 시내구경을 할 계획이었는데, 생각보다 친구네에서 거리가 멀어 하루로 줄였다. 친구는 '차로 한 시간 거리'라 별로 멀지 않다고 했지만, 우리에겐 무척 먼 거리였다. 그런 대화를 나눌 때마다 '미국의 스케일'이 느껴지곤 했다. 그건 '유럽의 스케일'이 다른 것인지도 모르지만. 유럽에서도 큰 도시에 산다는 우리지만, 집에서 30분이면 시내에 간다. 그런데도 한국의 지인들은 우리가 시골 사는 줄-.😅 이날도 지인찬스로(친구가 우리를 사인이 잘 보이는 언덕에 내려주고 언덕 아래서 우리를 기다려주었다) 헐리우드 사인이 잘 보이는 곳에서 기념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이 사인이 보이는 뷰포인트를 찾아보면, 몇 군데가 나오는데 마음 편하게 La..

[캘리포니아] 디즈니 어드벤쳐

로스엔젤레스로 가는 표만 사두고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았다. 일단 '지인 찬스'가 있었기 때문에 마음을 놓은 이유도 있었다. 여행 가기 한 달쯤 앞두고 지비가 먼저 ESTA(여행등록/허가 시스템)에 아이와 등록했다. 아이는 미성년이라 지비와 함께 하고 나만 따로. 아이 학교 친구 가족은 미국에 있는 할머니를 방문하기 위해 모두 신청했는데, 할머니의 딸인 친구 엄마만 이 ESTA에서 거절됐다. 이전에 미국 비자를 신청했다 거절당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 이야기를 듣고 가슴을 조금 졸이기는 했다. 다행히 통과(authorised). 그리고서 이제는 정말 여행 준비를 해야할 것 같아서 디즈니랜드(파크) 표를 검색해봤다. 디즈니 파크며 어드벤쳐며, 지니 패스며 매직 밴드며, 티어며 무척 복잡해 보였다..

[캘리포니아] 여행 첫날, 헌팅턴 해변

4년 전 출장으로 뉴욕을 다녀온 지비가 미국으로 여행을 가자고 할 때만해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렸다. 자신의 40번째 생일을 기념해서 미국으로 여행을 가자고 할 때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렸다. 판데믹 동안 지비는 판데믹이 끝나면 가고 싶은 곳으로 싱가폴을 꼽았다. 판데믹이 끝난 것은 아니지만 조심조심 여행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던 지난해, 생각보다 싱가폴 물가가 너무 비싸고 이른바 관광지라는 곳들이 너무 인공적이라 흥미가 떨어졌다. 그때 판데믹 중에 미국으로 이주한 친구가 떠올라 싱가폴 항공권을 구입하기 직전까지 갔다가 바로 여행지를 로스앤젤레스로 바꾸었다. 항공권을 5월에 샀지만, 떠나기 직전까지 별다른 준비를 하지 못했다. 가기 직전 여행 가서 하려던 꼭 한 가지 - 디즈니 파크..

[life] 크리스마스와 새해맞이

올해는, 아 벌써 작년은 조금 이른 크리스마스 저녁을 21일에 먹었다. 25일 아침은 되어야 열어볼 수 있었던 크리스마스 선물도 그 보다 나흘 앞서 열어보게 했다. 크리스마스에 여행을 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곧 집을 떠날 예정이라 음식도 간소하게, 남김 없이 먹을 수 있는 정도만 준비했다. 해산물을 대신해 새우 감바스를 해보려고 했으나 냉장고를 정리할 목적으로 자투리 채소를 다 넣었더니 '새우국'이 됐다. 그래도 아쉬운 마음이 들어 크리스마스 리스wreath 모양이 빵을 샀다. 그리고 아이의 열번 째 생일에 맞춰 주려고 했던 그림 선물을 11월에 받아 포장해 크리스마스 선물로 전달했다. 원본을 걸어두면 빛에 바랠 것 같아 '사본을 액자에 넣어 걸어두나' 고민하다, 빛 바랜 원본도 시간이 흐르면 멋진 선..

[life] 런던의 빠리빵집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편의점형 한국마트인 오세요가 생기고, 그 옆에 한국치킨점인 페리카나가 생기고서 우리의 희망은 빠리빵집이 생기는 것이였다. 동네에 일본빵집이 완전 흥업중이라 빠리빵집이 생기면 잘될텐데 그런 생각이었다. 이미 몇해 전부터 파리와 런던에 생긴다는 말이 있었다.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영국 내 사업자 등록도 된듯한. 아마도 코비드로 연기된 것 같았다. 그런데 지난 10월 한국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런던모임 페이스북 그룹에 빠리빵집이 오픈한다고 누군가 소식을 올렸다. 친구들과 “가자!” 그렇게 말이 오고가던 와중에 한국에서 SPC의 사고 소식이 들려왔다. 매년 한국에 갈 때면 매일 같이 드나들던 빠리빵집을 올해는 딱 한 번 정도 케이크를 사러 갔다. 아이에게 왜 즐겨 가던 빠리빵집에 갈 수 없는..

[life] 아자아자 화이자!(feat. 길 위의 마스크들)

11월의 어느 날, 바르셀로나에 살고 있는 대학 동기가 (육아와 가사로부터)휴가를 얻어 런던에 왔다. 우리가 만난 곳은 첼시 한가운데 있는 사치 갤러리Saachi Gallery. 한 20년 전쯤 친구가 런던에 살 때 갤러리가 위치한 킹스 로드 King's road에 있는 사진관에서 일했는데, "왜 여기 갤러리가 있다는 걸 몰랐을까?"라는 말에 "우리가 사치(奢侈)랑 거리가 먼 사람들이니까 그렇지!"하며 둘이 푸하하 웃으며 갤러리로 들어갔다. 상설 전시를 둘러보고 온라인으로 진행된 어떤 교육과정의 졸업전시를 보러 갔다가 만난 작품(?). "와 이런게 갤러리에 걸릴 줄 알았으면 나도 한 우물 열심히 파는 건데 그랬다"하고 둘이서 다시 푸하하 웃었다. 육아와 가사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만끽하며 너무 열심히 ..

[+3737days] 크리스마스 카드 그림 같은 런던

지난 밤에 눈이 왔다. 눈이라고 하기엔 적은 양이지만 눈은 눈. 런던은 내가 태어나고 자란 부산 같아서 겨울에도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잘 없고, 그러니 눈도 질 오지 않는다. 한 2년 전 눈이 왔었나. 와도 금새 녹아버리는 것이 부산과 정말 비슷하다. 아침에 등교하던 아이가 지붕과 화단에 남은 눈을 보고 “크리스마스 카드 그림 같다”며 좋아했다. 그렇게 아이는 등교를 하고 나는 집에서 가끔 창 밖을 확인했다. ‘눈이 다 녹았나? 그늘 진 곳은 조금 남았나?’하면서. 다행히 주차장 구석에 녹지 않은 눈을 확인하고 아이 하교 시간에 맞춰 ‘그것(!)’을 챙겨 나갔다. 2년 전에 구입하고 써보지도 못한 ‘눈 오리 메이커’. 아이와 함께 한 15분 눈 오리를 만들다 들어왔다. 아이는 장갑이 흠뻑 젖어도 재밌다는..

[life] 미리 크리스마스

12월의 첫날, 사람들과 크리스마스 기념 브런치를 먹었다. 요즘 들어 전에 없는 경험을 종종한다. 아침 댓바람부터 밖에 나가 아침을 먹는다는 것도 어색한데, 놀라운 건 예약을 하지 않으면 아침을 먹을 수도 없을 정도로 까페 겸 레스토랑이 가득 찬다는 것도 신기한 경험이었다. 집콕하며 아이와 십년 보내고 세상에 나오니 모든 게 신기+어색. 맞은 편에 앉은 사람이 "이 정도 가격에 이 정도 퀄리티면 괜찮네"하고 말을 꺼냈다. 그 말에 "남이 해준는 음식이면 토스트 위에 올린 콩(baked beans on toast)도 맛난 법이지"라고 말했더니 "그건 맞는 말"이라고. 그런데 그렇게 공감한 사람이 남성이라는 게 재미있는 일. 나는 오전에 크리스마스 브런치를 먹었고, 지비는 저녁에 회사 크리스마스 행사에 갔다..

[life] 친구들과 그룹 통화를 했다.

며칠 전 친구 하나가 잘 지내냐고 카카오톡을 보냈다. 다른 친구 한 명을 더한 그룹 대화창이 있는데, 따로 보낸 메시지를 보고 ‘걱정’이 좀 됐다. 문자로 답을 해야지 하는데 어쩌다보면 한국은 연락하기에 늦은/이른 시간이라 그 시간 맞추려다보니 며칠 동안 답을 못했다. 오늘 마음 먹고 답신을 보내려고 앉았다가 카카오톡의 통화버튼을 눌렀다. 놀라서 전화를 받은 친구와 이야기하다보니 스피커폰으로 해둔 전화 화면에 ‘초대(invite)’ 버튼이 보였다. 카카오톡에서도 이제는 그룹 통화가 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해볼까 하며 함께 단체 대화 창에 있는 친구를 초대했다. 친구가 전화를 받지 않았는데 취소하는 방법을 몰라 그냥 두고 이야기를 하다보니 뒤에 초대한 친구가 “우와 신기해.”하며 그룹 통화에 들어왔다. ..

[life] 새들의 판데믹(feat. 길 위의 마스크)

고기를 즐기지 않는 아이 때문에 달걀을 자주 먹는다. 일인당 일주일 달걀 소비가 3-4개쯤. 그런데 요즘 달걀을 사기가 어렵다. 텅빈 달걀 선반. 이 상태가 적어도 2주는 넘은 것 같다. 시간에 쫓겨 요즘은 아이가 일주일에 두 번 저녁시간 발레와 댄스 수업을 받을 때 교습소 옆 마트에서 장을 본다. 열흘이 지나는 동안 장을 세번쯤 보러 갔는데 모두 같은 상황이었다. 어쩔 수 없이 낮에 지비를 장보러 보냈다. 달걀을 사려고. 평소에 잘 사먹지 않는 비싼 달걀만 남아 있다고 했지만, 그거라도 사오라고 했다. 조류독감이 유례 없이 대유행이라는 뉴스를 들은 것 같아 찾아보니, 그건 맞는 사실이고, 이 달걀 부족 현상이 그 때문인지는 모르겠다. 확실한 건 정부 차원에서 가금류가 야생새들로부터 조류독감에 옮지 않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