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런던일기/2011년37

[plant] 토마토 한국에 다녀오고서 토마토를 심었다. 키만 무럭무럭 자라 토마토가 아니라 재크의 콩나무가 아닐까 의심했던 토마토. 8월 초에 집에 손님으로 왔던 은주씨 말로는 늦게 심어서 토마토가 안열리는 거라고 했다. 그래도 물만주면 자라는 토마토를 뽑아버리긴 그래서 그냥 될때까지 길러보기로 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토마토가 생겼다. 손톱만하던 토마토들이 지금은 대추보다 커졌다. 갯수도 6개. 색깔은 언제나 붉어질까? 아까워서 먹을 수나 있을까 모르겠다. 2011. 9. 30.
[book] 낯익은 세상 황석영(2011). . 문학동네. 과 이후 그다지 만족스러운 작품이 없었음에도 외면하기 힘든 작가 황석영. 다 읽고서 부족한 입맛을 다시더라도 꼭 사게 되는 그의 책들. 6월에 책을 사면서 한참을 망설였다. 그리고 구입을 미루었다 8월에 책을 사면서 다시 한참을 망설이다 구입했다. 그랬다고 생각했다. 6월에 어찌나 망설였는지 결국은 구입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6월에도 8월에도 책을 샀다. 6월에 구입한 책이 얼마전에야 도착하고서야 내가 같은 책을 두 권을 샀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진짜 망설이긴 많이 상설였나보다.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두 권을 필요 없으니 이번 바르셀로나행에 들고가서 읽고 상인이에게 주고 와야겠다고 마음먹고 여행길에 들고 나섰다. 해변에 누워 읽어야겠다 생각하면서. 생각보다 공항으로 .. 2011. 9. 30.
[book] 선율이 번지는 곳 폴란드 백승선·변혜정 글·사진(2011). . 가치창조. 온라인 서점에 들를때마다 '폴란드'와 '영국'을 늘 검색해본다. 그러다 발견한 책. 미리보기로 스륵 보고 '딱 한 시간 감'이라 망설이다가 샀다. 다른 책들은 배타고 두달 걸려 이 섬나라까지 왔는데, 이 책은 언니에게 비행기로 보내달라고 했다. 첫 폴란드 여행을 앞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폴란드로 떠나기 이틀 전쯤 도착해서 겨우 여행길에 들고 갈 수 있었다. 새벽에 일어나 비행기를 타는 바람에 비행기에서 반만 읽고, 나머지는 크라코Krakow에서 바르샤바Warsaw로 가는 기차 안에서 읽었다. 크라코로 가기 전엔 크라코 편 겨우 읽고, 바르샤바 가기전엔 그거 겨우 읽고. 그야말로 벼락치기였다. 폴란드는 슈체친Szczecin만 세번 정도를 갔다. 겨우 세번.. 2011. 9. 18.
[book] 내가 만일 대통령이라면! 강수돌(2010). . 생각의 나무. 장하준 교수의 책을 읽고서도 시원하지 않던 그 마음. 그들이 조목조목 짚어낸 이야기 뒤, 그리고 마음 한구석엔 '그래서 어쩔껀데'라는 물음이 남아 있었다. 구체적인 질문이 남아 있었다기 보다는 샌님같이 떠들기만 하는 그들의 책에 염증이 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다 오랫동안 장바구니 안에 있던 이 책을 구입했다. 오랫동안 장바구니에만 담았던 이유는 책이 너무 유치할 것 같아서. 제목이 너무 쉽고 상투적이지 않은가. 책은 유치하지 않았다. 간단하고 선명했다. 마을 이장으로 활동하던 그가, 그는 경영학 교수이기도 하다, 분에 못이겨 누군가의 멱살을 잡을 땐 통쾌하기까지 했다. 물론 그 누군가는 개인적으로 그럴 이유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그렇게 당해도 할 말이 없는 처지였.. 2011. 9. 6.
[project] 생각다듬기 - untitled #01. 런던에 오고서 얼마 지나지 않아 홀비시티 Holby city라는 병원 드라마를 열심히 봤다. 뉴스는 도저히 알아 들을 수가 없었지만 그나마 드라마는 그림만 봐도 이해가 되니까 즐겨 봤다. 주로 TV를 틀어놓고 얼굴은 노트북이 박고 있었지만. 그러던 어느날도 홀비시티를 보고 있었다. 보고 있었다기 보다는 듣고 있었는데, 켜놓은 TV에서 한국말이 흘러나왔다. 놀라서 고개돌려 자세히 보니 한국말이 맞았다. 한국말이긴 했는데 정확하게는 북한말이었다. 북한 난민인 부부가 샴 쌍둥이를 출산하면서 생기는 에피소드였다. 난민 지위인지라 보통의 케이스와는 약간 달란던 것이다. 그래도 그들 부부는 영국의 의료혜택을 받았다는 그런 에피소드. 그걸 보고 당시 룸메이트였던 아이에게 이야길 했더니 런던에 북한 사람이 많.. 2011. 9. 1.
[project] 생각다듬기 - family tree 블로그 꼭지에 '탐구생활'이라는 것이 있다. 한번도 채운 일이 없으니 없앨까하다가 '초심'과 '야심'을 잃지 말자는 의도로 계속 두었으나 비어만 있는 그 란이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탐구생활'중에서도 'family tree'라는 건 가계도가 흥미로운 사람들을 담아보고 싶었다. 이름은 없었지만, 그런 영감을 처음 준 사람은 어학연수시설 어학원의 강사, 거스. 그는 아르헨티나인이었다. 아버지는 이탈리아계였고, 할머니가 영국인이었다. 그래서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났지만 영국국적을 취득할 수 있었다. 그의 부인 역시 아르헨티나인이었지만 이란계였다. 부인에 관해선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하여간 꼭 영어만을 잘해서가 아니라 그는 언어에 탁월한 재능이 있는 사람이었고, 그래서 이야기를 해도 재미있는 사람이어서 친구가 .. 2011. 8. 20.
반응형